반응형
리프트(Lift)는 2024년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액션·범죄·하이스트 영화로, F. 게리 그레이(F. Gary Gray) 감독이 연출하고 케빈 하트(Kevin Hart)가 주연을 맡았다. 비행기라는 독특한 공간에서 벌어지는 고공 강도 작전을 다루며, 빠른 전개와 긴장감 넘치는 액션, 그리고 유머가 결합된 오락 영화다.
1. 영화 리프트 줄거리
국제적인 도둑 사이러스 휘트(케빈 하트)는 엘리트 강도 팀을 이끌며 불가능한 미션을 성공시켜 온 인물이다. 어느 날, 인터폴은 사이러스에게 거래를 제안한다. 목표는 비행기에서 5억 달러 상당의 금괴를 탈취하는 것이다.
- 비행기 강도 작전: 최첨단 보안 시스템을 뚫고 금괴를 확보해야 한다.
- 최고의 전문가 팀: 해커, 조종사, 전략가 등이 포함된 엘리트 팀이 작전에 참여한다.
- 예상치 못한 위기: 배신과 예상치 못한 사건이 발생하며 작전이 복잡해진다.
- 최후의 선택: 사이러스와 팀원들은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미션을 완수하려 한다.
2. 주요 등장배우 및 캐릭터
- 케빈 하트(Kevin Hart) – 사이러스 휘트: 팀을 이끄는 리더이자 전략가.
- 구구 음바타-로(Gugu Mbatha-Raw) – 애비: 냉철한 판단력을 지닌 작전 설계자.
- 빈센트 도노프리오(Vincent D’Onofrio) – 빅 돈: 팀의 경험 많은 베테랑.
- 우르술라 코르베로(Ursula Corberó) – 카밀라: 뛰어난 해킹 능력을 가진 기술 전문가.
- 빌리 매그너슨(Billy Magnussen) – 켄트: 사이러스 팀과 대립하는 인물.
3. 영화 배경 및 연출 스타일
(1) 비행기 내부를 배경으로 한 하이스트
리프트는 대부분의 사건이 공중에서 이동하는 비행기 내부에서 벌어진다. 이는 기존 하이스트 영화들과 차별화되며, 영화의 긴장감을 극대화하는 요소가 된다.
- 제한된 탈출 경로: 실패 시 도망칠 곳이 없다.
- 최첨단 보안 시스템: 이를 해킹하거나 조작해야 한다.
- 중력과 기압 변화: 액션 장면의 변수를 더한다.
- 승객과 승무원: 예상치 못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2) 현실적이면서도 과감한 액션 스타일
- 격투 액션: 좁은 공간에서의 근접 전투.
- 공중 추격씬: 탈출 과정에서의 스펙터클한 액션.
- 보안 시스템 해킹: 하이테크 범죄 요소 추가.
(3) 현대적인 하이스트 영화의 진화
- 하이테크 범죄: 단순한 무장 강도가 아니라,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작전.
- 국제적 무대: 유럽, 중동, 아시아 등 다양한 배경.
- 첩보 영화적 요소: 두뇌 싸움과 반전 포함.
(4) F. 게리 그레이 감독의 스타일
F. 게리 그레이 감독은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이탈리안 잡 같은 액션 및 하이스트 영화를 연출한 경험이 있다. 그의 스타일은:
- 빠른 편집과 긴박한 액션: 리드미컬한 전개.
- 스릴러적 요소: 반전과 예측 불가능한 전개.
- 강렬한 비주얼: 스타일리시한 카메라 워크.
(5) 케빈 하트의 유머와 액션의 균형
케빈 하트 특유의 유머가 긴박한 액션과 조화를 이루며, 영화의 분위기를 가볍게 만든다.
- 위기 속에서도 유머: 극한의 상황에서도 재치 있는 반응.
- 팀원들과의 케미: 유쾌한 팀워크.
- 액션 속에서도 가벼운 분위기: 무겁지 않은 연출.
4. 해외 반응 및 평점
- 로튼 토마토: 비평가 평점 55%, 관객 평점 72%
- IMDb: 6.3/10
- 메타크리틱: 58점 (혼합된 평가)
(1) 긍정적인 평가
- 케빈 하트의 유머와 액션의 조화.
- 빠른 전개와 다채로운 캐릭터.
- 비행기 내부 강도극이라는 신선한 설정.
(2) 부정적인 평가
- 스토리가 다소 평범하며, 전형적인 하이스트 영화 공식에서 벗어나지 못함.
- 반전 요소가 예상 가능하다는 지적.
- 일부 캐릭터의 활용도가 낮다는 점이 아쉽다는 평가.
5. 결론: 리프트, 가볍게 즐기기 좋은 하이스트 액션
리프트는 복잡한 서사보다는 빠른 전개와 유쾌한 분위기를 앞세운 오락 영화다. 케빈 하트의 익살스러운 연기와 긴장감 넘치는 비행기 내 강도극이 조화를 이루며, 가볍게 즐기기 좋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범죄 액션과 유머가 적절히 결합된 영화를 찾는다면, 리프트는 충분히 재미있는 선택이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