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리스(Tetris)는 2023년 공개된 실화 기반 스릴러 드라마 영화로, 1980년대 냉전 시대 속에서 세계적인 게임 테트리스의 판권을 확보하기 위해 벌어진 치열한 경쟁과 정치적 음모를 그린다. 존 S. 베어드(Jon S. Baird) 감독이 연출했으며, 태런 에저턴(Taron Egerton)이 주연을 맡아 극적 긴장감을 더한다.
이 영화는 단순한 게임 스토리가 아닌, 게임 역사상 가장 복잡한 저작권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냉전 시대 소련, 미국, 일본이 얽힌 글로벌 비즈니스 스릴러로서, 테트리스라는 게임이 세계적으로 퍼지기까지의 과정과 그 속에서 벌어진 거대한 정치적 게임을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1. 영화 테트리스 줄거리
1막: 테트리스 발견과 첫 도전
1980년대 후반, 네덜란드 출신의 미국 기업가 행크 로저스(태런 에저턴)는 도쿄에서 비디오 게임 유통 사업을 하던 중 테트리스라는 게임을 접하게 된다. 단순하면서도 중독적인 게임성에 매료된 그는 테트리스가 세계적인 히트작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하지만 테트리스는 소련의 프로그래머 알렉세이 파지노프(니키타 예프레모프)가 개발한 게임으로, 판권이 소련 정부에 의해 관리되고 있었다. 행크는 테트리스의 글로벌 유통권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의 미디어 재벌 로버트 맥스웰(로저 앨럼)과 그의 아들 케빈 맥스웰(앤서니 보일)과도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2막: 소련으로 가는 위험한 여정
행크는 테트리스 판권을 확보하기 위해 직접 소련으로 향한다. 당시 소련은 냉전이 한창이었으며, 외국인의 접근이 철저히 통제되는 상황이었다. 그는 소련 국영 기업 엘로그(Eleorg)와 접촉하며 협상을 시도하지만, KGB와 정부 관계자들의 감시를 받으며 끊임없는 위협을 받는다.
한편, 로버트 맥스웰 역시 소련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부패한 소련 고위 관리들과 손을 잡고 테트리스 판권을 차지하려 한다. 행크는 소련 내부 정치와 국제 비즈니스 전쟁에 휘말리며 점점 더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3막: 테트리스 판권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
행크는 알렉세이 파지노프와 가까워지면서 진정한 테트리스의 창작자가 누구인지를 깨닫는다. 그는 소련 정부와 협상하면서도, KGB의 감시를 피해 일본과 미국의 협력업체들과 비밀리에 계약을 추진한다.
그러나 로버트 맥스웰과 그의 기업은 소련 정부에 막대한 뇌물을 제공하며 판권을 빼앗으려 하고, KGB는 행크를 스파이로 몰아 강제 추방하려 한다. 결국 행크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테트리스 판권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 싸움을 벌인다.
4막: 최종 결말과 테트리스의 글로벌 성공
행크는 위조된 계약서와 소련 내부의 부정부패 증거를 확보하여, 소련 정부를 압박한다. 결국 그는 닌텐도와 협력하여 게임보이(Game Boy)용 테트리스 판권을 공식적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한다.
테트리스는 이후 전 세계적으로 5억 개 이상 판매되며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게임 중 하나가 된다. 영화는 테트리스가 글로벌 게임이 되기까지의 위험천만한 여정과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을 감동적으로 마무리한다.
2. 주요 등장배우 및 캐릭터
- 태런 에저턴(Taron Egerton) – 행크 로저스: 테트리스 판권을 확보하려는 기업가.
- 니키타 예프레모프(Nikita Yefremov) – 알렉세이 파지노프: 테트리스를 개발한 소련 프로그래머.
- 로저 앨럼(Roger Allam) – 로버트 맥스웰: 테트리스 판권을 노리는 미디어 재벌.
- 앤서니 보일(Anthony Boyle) – 케빈 맥스웰: 로버트 맥스웰의 아들, 테트리스 판권 확보 경쟁자.
- 토비 존스(Toby Jones) – 로버트 스타인: 테트리스 판권 중개인.
3. 영화 배경 및 특징
(1) 냉전 시대의 정치와 게임 산업
테트리스는 단순한 퍼즐 게임이지만, 당시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 간의 긴장 속에서 탄생했다. 영화는 단순한 게임 개발 스토리가 아니라, 국가 간의 정치적 대립과 기업들의 치열한 판권 경쟁을 담고 있다.
(2) 실화를 바탕으로 한 스릴러 요소
단순한 게임 개발 이야기가 아닌, 목숨을 건 스릴러처럼 전개된다. 행크 로저스가 소련 내부에서 KGB의 감시를 받으며 협상하는 장면들은 실제 첩보 영화처럼 긴장감을 조성한다.
(3) 복고 감성 & 80년대 분위기
영화는 레트로 스타일의 영상미와 8비트 그래픽을 활용한 독특한 연출을 통해 1980년대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한다.
4. 해외 반응 및 평점
- 로튼 토마토: 비평가 평점 82%, 관객 평점 89%
- IMDb: 7.4/10
- 메타크리틱: 76점 (대체로 긍정적 평가)
(1) 긍정적인 평가
- 태런 에저턴의 열연과 긴장감 넘치는 전개.
- 실화를 바탕으로 한 스릴러적 요소가 흥미진진함.
- 80년대 분위기를 살린 스타일리시한 연출.
(2) 부정적인 평가
- 일부 내용이 실제 역사와 다소 차이가 있음.
- 게임 자체보다 정치적 요소에 집중되어 있음.
- 소련 내부의 묘사가 다소 과장되었다는 지적.
5. 결론: 실화 기반의 가장 흥미로운 게임 영화
테트리스는 단순한 게임 개발 이야기가 아니라, 냉전 시대 국제 정치, 기업 경쟁, 그리고 개인의 열정이 얽힌 실화 스릴러다.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 80년대 복고 감성, 그리고 실화를 바탕으로 한 극적 전개가 영화의 매력으로 꼽힌다.
게임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스릴러와 실화를 기반으로 한 드라마를 좋아하는 관객들에게도 추천할 만한 작품이다.